교도소 수감자(기사 내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19 14:50

본문

교도소 수감자(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에서 강도 혐의로 경찰에 체포된 뒤 5년 동안 수감됐다가 출소한 호주인이 방송 인터뷰를 통해 비위생적 교도소 환경 속에서 심적 고통에 시달린 경험을 공개했습니다.현지시간 18일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에서 살던 호주인 매튜 라달지는 2020년 1월 2일 전자제품 시장에서 가게 주인과 휴대전화 액정 수리 비용을 놓고 실랑이를 벌였습니다.이 일로 라달지는 강도 혐의로 경찰에 체포됐고, 억울했지만 유죄를 인정했습니다.중국에서는 유죄 판결률이 거의 100%에 달한다는 얘기에 무죄 주장이 의미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합니다.실제로 그는 자백한 점이 참작돼 다소 감형받았습니다.라달지는 일반 교도소로 보내지기 전 별도 구금시설에서 먼저 가혹한 '적응 과정'을 견뎌야 했습니다.그는 "몇 개월씩 샤워가 금지됐다"며 "심지어 화장실도 정해진 시간에만 이용할 수 있었고, 위층 화장실에서 오물이 계속 아래층 수용실로 흘러내릴 정도로 지저분했다"고 전했습니다.몇개월 뒤 정식 교도소에 수감됐지만 열악한 생활 환경은 마찬가지였습니다.식사는 더러운 물에 양배추를 넣고 끓인 국이었는데, 가끔 당근 조각과 작은 고기 조각이 들어 있으면 '운수 좋은 날'로 치부됐습니다.라달지는 "수감자 대부분이 영양실조 상태였다"고 기억했습니다.교도소는 외국인 전용이라 아프리카와 파키스탄 국적이 많았고, 미국, 영국, 북한, 대만 국적자도 갇혀 있었습니다.이들은 대부분 마약 사범으로 알고 있다고 라달지는 말했습니다.감형을 미끼로 한 '모범 점수제'는 유용한 통제 수단으로 활용됐습니다.수감자들은 공산당 문헌을 공부하거나 교도소 내 공장에서 일해 점수를 얻었고, 또 다른 수감자의 잘못을 몰래 신고해도 '포인트'가 쌓였습니다.이렇게 성실한 수감 생활을 하면 한 달에 최대 100점이 주어지는데, 3년 6개월 동안 매달 빠짐없이 최고점을 받아 4,200점을 모으면 감형 혜택이 주어집니다.그러나 라달지는 교도소 측이 수감자 점수가 4,200점에 가까워지면 꼬투리를 잡아 감점을 줬다고 말했습니다.복도에서 걸을 때 선을 벗어났다거나 침대에 양말[김종훈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4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이번에도 말이 없었다. 19일 오전 10시경 서울중앙지방법원 서관 앞에 내린 전 대통령 윤석열씨는 취재진의 포토라인을 그대로 지나쳐 법원 청사 안으로 들어갔다. 가지런한 2 대 8 가르마, 짙은 남색 계열의 정장에 붉은색 넥타이까지, 일주일 전(12일) 첫 번째 지상 출입 상황과 똑같았다. 19일 윤씨는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 부장판사) 심리로 진행되는 내란 우두머리 혐의 사건 4차 공판에 출석하기 위해 법원을 찾았다. 앞서 법원은 2차 공판까지는 윤씨가 취재진의 포토라인을 피해 법원 지하통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지만, 특혜 논란이 일자 지난주 3차 공판부터 다른 피고인들처럼 법원 출입구를 거쳐 법정에 출입하도록 했다.윤씨를 태운 차량은 공판 시간인 오전 10시에 임박해서야 서관 출입구 앞에 도착했다. 윤씨가 내리자 취재진이 다가갔다. - 앞선 재판에서 끌어내라는 지시가 있었다는 증언 이어지는데 입장 있으십니까? "...." - 국민께 하실 말씀이나 재판 관련해 입장 있으신가요? "...." - 비상계엄 관련해 사과하실 생각 있으십니까? "...." 딱 여기까지였다. 굳은 표정의 윤씨의 입은 굳게 닫힌 채 열리지 않았다. 이날 공판에는 박정환 육군 특수전사령부 참모장(준장)과 이상현 특전사 1공수여단장(준장)이 증인으로 출석한다. 또한 병합 기소된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와 관련해 양 측의 입장을 밝히는 절차도 진행될 예정이다. ▲ 윤석열 전 대통령 '묵묵부답'윤석열 전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4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