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시장 큰손 부상코인가격 달러연동에 美국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5-18 22:24

본문

글로벌 금융시장 큰손 부상코인가격 달러연동에 美국채 필요1283억弗로 1년새 373억弗 급증EU 등 코인 육성·제도 정비 적극韓도 법적 기반 마련 등 서둘러야[서울경제] 세계 1·2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USDT)와 서클(USDC)이 갖고 있는 미국 국채 규모가 처음으로 한국을 앞섰다.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확대되면서 주요 담보물인 미 국채 보유량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달러 스테이블코인 및 관련 산업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한국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본지 5월 13일자 1·2면 시리즈 참조18일 미 재무부에 따르면 올 3월 말 현재 한국이 보유한 미 국채 규모는 1258억 달러(약 176조 1800억 원)로 집계됐다.테더는 3월 말 기준 1034억 달러, 유에스디코인(USDC)을 발행하는 서클은 249억 달러 규모의 미 국채를 갖고 있다고 각각 공시했다. 두 업체의 미 국채 소유량만 1283억 달러로 국가 기준으로 보면 처음으로 한국을 앞질렀다. 지난해 말만 해도 한국 정부의 미 국채 보유량은 1249억 달러로 1141억 달러였던 테더와 서클보다 많았는데 3개월 만에 뒤집힌 것이다.두 회사의 미 국채 보유량은 인도(2399억 달러)와 브라질(2084억 달러), 노르웨이(2001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1316억 달러) 등보다 적지만 한국과 독일(1114억 달러), 아랍에미리트(1044억 달러)보다 많다. 미 국채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중요도를 고려할 때 스테이블코인 업체의 힘이 웬만한 국가보다 세졌다는 뜻이다.테더와 서클이 보유한 미 국채가 급증하는 것은 코인 가격을 달러와 연동해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안전자산인 미 국채와 현금 등이 필요하다. 달러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늘수록 미 국채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구조다.그 결과 테더와 서클의 미 국채 매입량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말 현재 910억 달러에서 1년 새 373억 달러가량 폭증했다. 실제로 스테이블코인 수요가 늘어나면서 2023년 말 기준 1304억 달러였던 시장 규모는 현재 2438억 달러 수준까지 커졌다. 이 가운데 USDT와 USDC가 시장의 87%를글로벌 금융시장 큰손 부상코인가격 달러연동에 美국채 필요1283억弗로 1년새 373억弗 급증EU 등 코인 육성·제도 정비 적극韓도 법적 기반 마련 등 서둘러야[서울경제] 세계 1·2위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USDT)와 서클(USDC)이 갖고 있는 미국 국채 규모가 처음으로 한국을 앞섰다.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확대되면서 주요 담보물인 미 국채 보유량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달러 스테이블코인 및 관련 산업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한국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본지 5월 13일자 1·2면 시리즈 참조18일 미 재무부에 따르면 올 3월 말 현재 한국이 보유한 미 국채 규모는 1258억 달러(약 176조 1800억 원)로 집계됐다.테더는 3월 말 기준 1034억 달러, 유에스디코인(USDC)을 발행하는 서클은 249억 달러 규모의 미 국채를 갖고 있다고 각각 공시했다. 두 업체의 미 국채 소유량만 1283억 달러로 국가 기준으로 보면 처음으로 한국을 앞질렀다. 지난해 말만 해도 한국 정부의 미 국채 보유량은 1249억 달러로 1141억 달러였던 테더와 서클보다 많았는데 3개월 만에 뒤집힌 것이다.두 회사의 미 국채 보유량은 인도(2399억 달러)와 브라질(2084억 달러), 노르웨이(2001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1316억 달러) 등보다 적지만 한국과 독일(1114억 달러), 아랍에미리트(1044억 달러)보다 많다. 미 국채가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차지하는 의미와 중요도를 고려할 때 스테이블코인 업체의 힘이 웬만한 국가보다 세졌다는 뜻이다.테더와 서클이 보유한 미 국채가 급증하는 것은 코인 가격을 달러와 연동해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안전자산인 미 국채와 현금 등이 필요하다. 달러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늘수록 미 국채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구조다.그 결과 테더와 서클의 미 국채 매입량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말 현재 910억 달러에서 1년 새 373억 달러가량 폭증했다. 실제로 스테이블코인 수요가 늘어나면서 2023년 말 기준 1304억 달러였던 시장 규모는 현재 2438억 달러 수준까지 커졌다. 이 가운데 USDT와 USDC가 시장의 87%를 차지하고 있다.문제는 주요국이 스테이블코인 육성과 제도 정비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만 해도 최근 스테이블코인 관련 법인 ‘지니어스(GENIUS)’가 상원의 문턱을 넘지 못했지만 재표결을 통해 이번 주 처리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부터 암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