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마트·이토추 상사·후지필름
페이지 정보

본문
패밀리마트·이토추 상사·후지필름 등난자동결비용 지원·불임치료 휴직 등 허용日정부 2030년 여성임원비율 30% 목표기업들, 여성 퇴직 막으려 지원책 확대 일본 도쿄 신주쿠 거리[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직장내 여성 관리자 비율을 높이기 위해 직원의 임신을 지원하는 일본 기업이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18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패밀리마트, 이토추상사, 유니참은 직원의 난자 동결 비용을 일부 지원하고 있고, 후지필름은 불임 치료 등을 위해 1년간 휴직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화장품 업체 폴라의 지주회사인 폴라 오르비스 홀딩스는 의사에게 온라인으로 임신 상담을 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완구 업체 다카라토미는 아이를 낳거나 양자를 입양하면 200만엔(약 1920만원)을 준다.일본 기업들이 이처럼 임신과 출산 지원에 나선 배경에는 불임 치료를 이유로 회사를 그만두는 사례가 늘어나는 현실이 있다고 요미우리는 짚었다.후생노동성의 2023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불임 치료 경험자 중 10.9%가 일을 하기 힘들어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아울러 일본 정부가 2030년까지 주요 상장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을 30%까지 끌어 올리려 한다는 점도 임신 지원 움직임이 확산하는 요인이라고 신문은 해설했다.지난해 7월 기준으로 이 비율은 15.6%에 그쳤다. 요미우리는 “불임 치료를 받는 여성은 30∼40대가 많다”며 “여성 관리자를 늘리려면 이직을 막는 것이 과제인데, 실제로는 불임 치료·임신·출산·육아와 업무의 양립이 어렵다는 이유로 퇴직하는 여성이 많다”고 전했다.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관계자는 “불임 치료를 지속하면서 일하도록 하려면 휴가와 유연 근무제 사용을 쉽게 하는 등 사원의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요미우리에 말했다.한편, 세계 최저 출산율을 자랑하는 한국에 앞서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겪어온 일본도 근래 출산율이 계속 떨어지면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도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지난 16일 일본종합연구소는 일본의 작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1.15명에 그쳤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23년의 1.20명보다 0.05명 줄어든 수준이다. 2023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2명 이었다.지난해 일본에서 혼인건수는 48만5000쌍으로 2.1% 늘었지만 일본인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5.6% 줄어든 68만6000명패밀리마트·이토추 상사·후지필름 등난자동결비용 지원·불임치료 휴직 등 허용日정부 2030년 여성임원비율 30% 목표기업들, 여성 퇴직 막으려 지원책 확대 일본 도쿄 신주쿠 거리[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직장내 여성 관리자 비율을 높이기 위해 직원의 임신을 지원하는 일본 기업이 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18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패밀리마트, 이토추상사, 유니참은 직원의 난자 동결 비용을 일부 지원하고 있고, 후지필름은 불임 치료 등을 위해 1년간 휴직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화장품 업체 폴라의 지주회사인 폴라 오르비스 홀딩스는 의사에게 온라인으로 임신 상담을 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완구 업체 다카라토미는 아이를 낳거나 양자를 입양하면 200만엔(약 1920만원)을 준다.일본 기업들이 이처럼 임신과 출산 지원에 나선 배경에는 불임 치료를 이유로 회사를 그만두는 사례가 늘어나는 현실이 있다고 요미우리는 짚었다.후생노동성의 2023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불임 치료 경험자 중 10.9%가 일을 하기 힘들어 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아울러 일본 정부가 2030년까지 주요 상장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을 30%까지 끌어 올리려 한다는 점도 임신 지원 움직임이 확산하는 요인이라고 신문은 해설했다.지난해 7월 기준으로 이 비율은 15.6%에 그쳤다. 요미우리는 “불임 치료를 받는 여성은 30∼40대가 많다”며 “여성 관리자를 늘리려면 이직을 막는 것이 과제인데, 실제로는 불임 치료·임신·출산·육아와 업무의 양립이 어렵다는 이유로 퇴직하는 여성이 많다”고 전했다.다이이치생명경제연구소 관계자는 “불임 치료를 지속하면서 일하도록 하려면 휴가와 유연 근무제 사용을 쉽게 하는 등 사원의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요미우리에 말했다.한편, 세계 최저 출산율을 자랑하는 한국에 앞서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겪어온 일본도 근래 출산율이 계속 떨어지면서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도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지난 16일 일본종합연구소는 일본의 작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1.15명에 그쳤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23년의 1.20명보다 0.05명 줄어든 수준이다. 2023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2명 이었다.지난해 일본에서 혼인건수는 48만5000쌍으로 2.1% 늘었지만 일본인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5.6% 줄어든 68만6000
- 이전글LG유플러스 “AI·경찰 협업 강화로 보이스피싱 피해 2000억원 막아” 25.05.18
- 다음글‘붕괴 사망사고’ 신안산선 통과 5개 지자체 “유사 사고 재발 방지 필요…정부 대책 만들어야” 25.05.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